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3

뇌혈관 조영술 방법과 종류, 부작용에 대해서 뇌혈관 조영술 뇌혈관 조영술은 뇌의 혈관 구조와 혈류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영상진단 기술입니다. 이 방법은 일반적으로 혈관 내에 조영제라는 특수한 약물을 주입하여 혈관을 더 잘 시각화할 수 있도록 합니다. 뇌혈관 조영술 시 환자는 병원에서 금식 등 약물 복용을 제한하는 지침이 있습니다. 검사 전 8시간 금식해야 하며, 검사 후 출혈이 일어날 수 있음으로 6시간 이상 최대한 움직이지 않고 누워서 안정을 취해야 합니다 뇌혈관 조영술은 뇌졸중, 혈관 폐쇄, 혈관 이상 등 다양한 뇌혈관 질환의 진단과 치료를 지원하는 중요한 진단 도구입니다. 그러나 조영제의 사용은 일부 환자에게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의료 전문가의 지시하에 실시되어야 합니다. 뇌혈관 조영술의 종류 MRI 혈관조영술 : MRI 혈관조영술.. 2024. 2. 9.
당뇨 집밥 15, 뇌졸중 진단 받은 날 전조 증상 친오빠가 뇌졸중 진단을 받은 날 ( 뇌졸증 전조 증상 ) 앞에서 당뇨 집밥 이야기 4화에서 알려드린 이야기로 오빠의 자전거 사고 이후, 고혈당으로 인해서 염증 수치가 내려가지 않았고, 다리에 염증이 가라앉지 않아서 인슐린을 맞고 있었습니다. 그 이후 퇴원하고 회사도 약 1달 정도 다녔고, 당뇨를 철저하게 관리 하지는 않고 그냥 별일 없겠거니 지내고 있었습니다. 그때까지는 뇌졸중이라는 병은 0.00001도 생각해 본 적이 없었습니다. 사고 이후 체력이 좀 떨어졌었고, 몸에 열이 많아서 겨울에도 땀을 흘리던 사람이 추위를 타기도 했습니다. 귀찮아하는 모습을 자주 보였고, 무기력해하는 모습도 자주 보였었습니다. 그때는 성격에 문제가 생겼나? 가족들은 이런 고민을 하긴 했었습니다 ( 나중에 생각해 보니 이런 작.. 2024. 2. 8.
당뇨식단)저당밥 짓기, 홈지오 저당밥솥 혈당관리. 저당밥의 중요성 당뇨 식단에서 가장 쉽고 빠르게 혈당을 안정시키는 방법이 잡곡밥입니다. 오빠의 뇌졸중 진단 후 당뇨 식단을 위해 저당 밥솥을 구매했습니다 당뇨 식단에서 정제된 흰쌀밥을 피하고 현미잡곡밥을 먹는 것이 혈당을 천천히 오르게 하며 혈당 스파이크를 예방한다고 합니다. 현미잡곡밥의 부작용 소화 문제: 현미잡곡밥에 함유된 식이 섬유는 소화를 돕지만, 과도하게 섭취할 경우 소화 불량이나 가스 생성 등의 소화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탈수: 현미잡곡밥은 고섬유 식품이기 때문에 충분한 수분을 함께 섭취하지 않을 경우 변비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불균형한 영양 섭취: 현미잡곡밥만을 주로 섭취하는 경우 단백질, 지방, 미네랄 등의 영양소가 부족할 수 있으므로, 균형 잡힌 식단을 유지하는 것이 .. 2024. 2. 7.
당뇨 식단 14 뇌졸증 환자의 집밥, 당뇨 합병증 눈 뇌졸중의 원인이 되었던 당뇨 당뇨는 뇌졸중 진단을 받고 난 이후로 더욱 신경 써서 관리해야 합니다. 뇌졸중도 당뇨합병증 중에 하나로 발생하는데요, 당뇨 합병증으로 하나가 발생한다고 해서 다른 합병증이 안 생기는 것이 아닙니다. 당뇨는 초기에 관리하는 게 가장 좋겠지만, 이미 당뇨로 합병증이 온 이후에도 더욱 철저하게 관리해야 합니다. 당뇨 합병증 중 눈에 영향을 주는 것을 당뇨망막병증이라고 합니다. 당뇨병은 고혈당 상태가 지속되면 혈관에 손상을 일으키는데, 눈의 망막에 있는 혈관도 손상이 될 수 있습니다. 이는 망막의 혈관이 부풀어 오르거나 혈관이 막혀서 망막 조직이 산소와 영양분을 충분히 받지 못하여 손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당뇨망막병증은 세 가지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단순 망막병증 : 망막의 .. 2024. 2. 7.
시금치의 효능과 도움되는 질병 시금치의 효능 시금치는 영양 가득한 초록색 잎사귀를 가진 채소로, 건강에 이로운 성분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시금치의 주요 효능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비타민 및 미네랄 공급: 시금치에는 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K, 칼슘, 철, 마그네슘 등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영양소들은 각각 눈 건강, 면역 체계 강화, 혈액 응고 방지, 뼈 건강 및 근육 기능을 지원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항산화 작용: 시금치에는 항산화 물질인 카로티노이드가 풍부하게 들어있어 세포 손상을 예방하고 건강한 세포 기능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염증 감소: 시금치에는 염증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 강력한 항염증 성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는 관절 및 기타 부분에서 염증을 감소시키고 만성 질.. 2024. 2. 6.
당뇨 식단 13 뇌졸증 환자의 집밥, 당뇨에 먹을 수 있는 간식 당뇨에 먹을 수 있는 간식 당뇨 식단으로 식이요법을 할 때 지켜야 하는 요소들이 많죠? 자연식품 위주 저당, 저염 식품 위주 나물 반찬 위주로 식사하며 간은 싱겁게 기름진 음식은 피하고 가공식품을 피하며 정해진 칼로리에 맞춰서 식품군마다 정해진 양으로 먹으며 끼니를 거르지 않아야 합니다. 이렇게 맞춰서 먹다 보면 먹을 수 있는 음식이 한정적으로 되더라고요 그럼에도 중간중간 허기지고 , 기력이 없을 때는 당뇨환자가 간식을 먹어도 될까? 하는 궁금증이 있을 텐데요 당뇨 환자도 간식을 먹을 수 있지만, 신중하게 선택해야 합니다. 당뇨 환자는 혈당 수준을 관리하고 건강한 식습관을 유지해야 합니다. 몇 가지 지침을 따라 간식을 선택하고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탄수화물 관리: 당뇨 환자는 탄수화물을 신중하게 선택.. 2024. 2. 5.
귤의 효능과 혈압, 당뇨에 미치는 영향 귤의 효능 귤은 영양가가 매우 풍부하고 다양한 건강 효과를 제공하는 과일 중 하나입니다. 귤의 주요 효능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비타민 C 공급: 귤은 비타민 C의 훌륭한 원천 중 하나입니다. 비타민 C는 강력한 항산화제로 알려져 세포 손상을 예방하고 면역 체계를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항산화 효과: 귤에는 비타민 C 외에도 다양한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습니다. 항산화 성분은 자유 라디칼과 같은 유해한 분자들을 제거하여 세포 손상을 최소화하고 노화를 방지합니다. 칼슘과 칼륨 공급: 귤은 칼슘과 칼륨 같은 미네랄도 풍부하게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는 뼈 건강을 지원하고 혈압을 조절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식이 섬유 제공: 귤에는 식이 섬유가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어 소화를 .. 2024. 2. 2.
당뇨식단 12일차 조금씩 나타나는 뇌졸증 증상 작년 11월쯤, 뇌졸중 진단을 받고 다행히 일상생활이 가능한 상태라서 12월쯤 퇴원했습니다. 집에서 식이요법을 하며, 회사도 다니고, 모르는 사람이 보면 평범한 일상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지켜보며 조금씩 나타나는 뇌졸증 증상에 대해서 말해보려 합니다. 뇌졸증 진단 후 증상 근육이 많이 빠졌고, 체력이 많이 떨어졌습니다. 근력 운동을 해야 하는데 혈압이 오르면 위험할 수 있으니, 근력운동을 어떤 방법으로 해야 할지 고민하고 있습니다. 건망증의 증상이 눈에 띄게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가끔 했던 말을 잊어버리고 또 한다거나, 해야 할 일을 잊어 버릴 때가 있습니다. 원래 꼼꼼한 성격이라 잘 안잊어버리는데 , 뇌졸중의 증상 중 하나인 거 같습니다. (이전에 실수로 잊는 것과는 다르게 확연히 빈도가 잦고 .. 2024. 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