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 정상수치3 당뇨 식단 17, 인슐린 투여 시 체중 감량 당뇨환자에게 인슐린이 체중감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당뇨 합병증으로 뇌졸중 진단을 받은 오빠는 105킬로에서 99킬로까지 감량하고 정체기에 머물러 있습니다. 식사량이 눈에 띄게 줄었는데도 불구하고 체중 감량이 더디다고 느끼게 되어 여러 가지 원인에 대해서 고민을 해보았습니다. 그중 인슐린이 체중에 영향을 미치기도 할까?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먼저 인슐린이 당뇨에 미치는 효능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인슐린 투여 시 효능 인슐린은 당뇨병 환자의 혈당 수준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 중요한 호르몬입니다. 인슐린을 투여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습니다 혈당 조절: 인슐린은 혈액 속의 혈당을 조절하여 증가한 혈당 수준을 낮춥니다. 이는 인슐린이 세포막을 통해 포도당을 세포 안으로 운반시켜 세.. 2024. 2. 12. 당뇨 식단 14 뇌졸증 환자의 집밥, 당뇨 합병증 눈 뇌졸중의 원인이 되었던 당뇨 당뇨는 뇌졸중 진단을 받고 난 이후로 더욱 신경 써서 관리해야 합니다. 뇌졸중도 당뇨합병증 중에 하나로 발생하는데요, 당뇨 합병증으로 하나가 발생한다고 해서 다른 합병증이 안 생기는 것이 아닙니다. 당뇨는 초기에 관리하는 게 가장 좋겠지만, 이미 당뇨로 합병증이 온 이후에도 더욱 철저하게 관리해야 합니다. 당뇨 합병증 중 눈에 영향을 주는 것을 당뇨망막병증이라고 합니다. 당뇨병은 고혈당 상태가 지속되면 혈관에 손상을 일으키는데, 눈의 망막에 있는 혈관도 손상이 될 수 있습니다. 이는 망막의 혈관이 부풀어 오르거나 혈관이 막혀서 망막 조직이 산소와 영양분을 충분히 받지 못하여 손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당뇨망막병증은 세 가지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단순 망막병증 : 망막의 .. 2024. 2. 7. 당뇨병에 대한 이해와 진단 방법과 관리목표 당뇨병은 어떤 병인가요? 당뇨병이란 우리 몸에서 에너지원으로 이용되어야 할 포도당이 소변으로 빠져나온다고 하여 이름 붙여진 병입니다. 우리가 섭취한 음식물의 대부분은 위장관에서 소화되어 포도당으로 분해된 후 혈관 내로 흡수되고 세포로 들어가 에너지원으로 이용됩니다. 인슐린은 췌장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포도당이 세포로 들어갈 수 있도록 문을 열어주는 열쇠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당뇨병은 이 과정에서 인슐린이 분비되지 않거나 인슐린 작용이 원활하지 않아 혈액 속에 포도당(혈당)이 세포로 들어가지 못하고 혈액 속에 그대로 머물러 혈당이 올라갑니다. 혈당이 상승하여 180mg/dL 이상 되면 소변으로 배설됩니다. 오랫동안 혈당이 높은 상태로 방치되면 혈관과 신경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혈당이 높지 않으.. 2023. 11. 28. 이전 1 다음